건축법 제46조(건축선의 지정) ① 도로와 접한 부분에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선[이하 “건축선(建築線)”이라 한다]은 대지와 도로의 경계선으로 한다. 다만, 제2조제1항제11호에 따른 소요 너비에 못 미치는 너비의 도로인 경우에는 그 중심선으로부터 그 소요 너비의 2분의 1의 수평거리만큼 물러난 선을 건축선으로 하되, 그 도로의 반대쪽에 경사지, 하천, 철도, 선로부지,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경사지 등이 있는 쪽의 도로경계선에서 소요 너비에 해당하는 수평거리의 선을 건축선으로 하며, 도로의 모퉁이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선을 건축선으로 한다.
②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시가지 안에서 건축물의 위치나 환경을 정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제1항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건축선을 따로 지정할 수 있다. <개정 2014. 1. 14.>
③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제2항에 따라 건축선을 지정하면 지체 없이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. <개정 2014. 1. 14.>
[국가법령정보센터]
※최소소요너비의 기준
1. 대지와 접하는 도로(보행과 차량통행이 가능한 도로)의 너비가 4m이상인 도로
2. 지형적으로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거나 막다른 도로의 경우 그 구간이 3m이상인 도로
3. 2번에 해당하지 않는 막다른 도로로서 다음 표에 정하는 기준 이상인 도로
▶중심선으로부터 소요너비의 2분의 1의 수평거리만큼 물러난 선이 건축선
▶반대쪽에 경사지 등이 있는 쪽의 도로경계선에서 소요너비에 해당하는 수평거리의 건축선
▶도로의 모퉁이에서의 건축선(가각전제-너비 8미터 미만인 도로의 모퉁이에서 후퇴)
위 표에따라 그림의 상황일 때 아래 그림처럼 건축선이 지정됩니다.
#건축물종류#건축#신축#증축#용도변경#양성화#설계문의#증축문의#용도변경문의#건축문의#신고#허가#설계사무소#건축사무소#건축사사무소#
'관련법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작물의 축조 및 필요서류 (0) | 2022.04.01 |
---|---|
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및 정화조 처리대상인원 산정기준 (0) | 2022.02.11 |
용도별건축물의 종류 (0) | 2022.01.20 |
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, 대상시설별 편의시설 종류 및 설치기준 (0) | 2022.01.19 |